모바일 메뉴 닫기

 
심희찬

심희찬 교수

소속/직위
Associate Professor
연구실
청송관 275호
이메일
hcshim@yonsei.ac.kr
연락처
033-760-0125
학위
문학박사(立命館大學)

소개

학위명 :
-리쓰메이칸대학(立命館大學) 문학연구과 (박사, 2012)
-리쓰메이칸대학(立命館大學) 문학연구과 (석사, 2009)
-계명대학교 국제학부 일본학과 (학사, 2007)

주요경력 : 
-『역사비평』 편집위원(2022~현재), 강원사학회 편집위원(2025~현재), 『유관순연구』 편집위원(2025~현재)
-한국일본사상사학회 학술이사(2025~현재), 동아시아일본학회 학술이사(2025~현재), 한국일본학회 기획이사(2025~현재)
-일본문부과학성 학술진흥회 특별연구원DC1(2009~2012)
-리쓰메이칸대학(立命館大學) 衣笠綜合硏究機構 ポスドク硏究院(2012~2013)
-리쓰메이칸대학(立命館大學) 衣笠綜合硏究機構 專門硏究員(2013~2015)
-일본문부과학성 학술진흥회 외국인특별연구원(2015~2017)
-원광대학교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HK+연구교수(2018~2019)

저서 :
-桂島宣弘編, 『東アジア, 遭遇する知と日本』, 文理閣, 2019(편저)
-坪井秀人編, 『パネルと失われた20年』, 臨川書店, 2018(공저)
-윤해동 편, 『제국일본의 역사학과 '조선'』, 소명출판, 2018(공저)

역서 :
-아오노 마사아키, 『제국신도의 형성』, 소명출판, 2017(공역)
-尹海東, 『植民地がつくった近代』, 三元社, 2017(공역)
-이소마에 준이치, 『상실과 노스탤지어』, 문학과지성사, 2014

논문 :
-「고시엔이라는 의식(儀式)에 관한 소고: 패전의 기억을 다스리는 그라운드의 청춘들」,  『역사비평』 150, 2025
-「『공각기동대』 다시 읽기: 로봇의 존재론을 위하여」, 『일본사상』 46, 2024
-「『조선지광』의 소설 읽기: 잉여물과 여성적 욕망」, 『사림』 88, 2024
-「다시 「근대사학사의 필요에 대해」를 묻다: 메이지유신 전후 일본의 고증학과 계몽사학」, 『일본문화연구』 89, 2024
-「1920~30년대 종합잡지 수록 조선사 관련 기사의 통계적 분석: 『개벽』, 『삼천리』, 『신동아』를 중심으로」, 『동방학지』 202, 2023
-「최후의 초극전, 혹은 중국적 근대의 그림자: 미조구치 유조(溝口雄三)의 중국사상사 연구와 동아시아론」, 『역사교육』 165, 2023
-「1920년대 『동아일보』 조선사 관련 기사 데이터베이스 검토: 문화운동의 역설」, 『동방학지』 198, 2022
-「이기백 역사학의 민족과 민중: 자유 개념의 변주와 역사의 종언」, 『역사비평』 140, 2022
-「식민사학 재고: 과학 담론과 식민지주의의 절합에 대해」, 『인문학연구』 63, 2022
-「'조선'이라는 파레르곤: 보편주의와 침략적 아시아주의의 매듭」, 『일본비평』 27, 2022
-「박시형의 역사관과 발해사 연구에 대해」, 『역사와 교육』 34, 2022
-「곤란한 혁명: 혁명가 이북만의 삶과 제국일본의 맑스주의」, 『역사연구』 42, 2021
-「해방 이후 북한의 역사학계와 박시형: 혁명적 역사학의 조건들」, 『한국사학보』 83, 2021
-「근대전환기 신문·잡지 역사 관련 기사 데이터베이스 검토: '한국사' 서술의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」, 『역사문제연구』 24-1, 2020
-「조선적인 것과 '모노노아와레': 식민지에서 상징계 구축하기」, 『일본사상』 39, 2020
-「이기백의 일본유학과 역사주의 수용: 사학사의 관점에서」, 『아세아연구』 62-2, 2019
-「일선동조론의 계보학적 검토를 위한 시론: 일본사의 탄생과 타자로서의 조선」, 『한일관계사연구』 65, 2019
-「再び, 近代史学史の必要について」, 『新しい歴史学のために』, 293, 2018